AI/MLOps

도커 컨테이너 빌드업 - 1.1 클라우드 컴퓨팅 개요

jihuSunbae 2025. 3. 10. 11:55

 

 
 

목차

     


    학습 목표

    • 클라우드 컴퓨팅의 도입 배경, 특징, 구조에 대해서 학습한다. 
    • 클라우드 서비스 종류(IaaS, PaaS, SaaS)에 대해서 학습한다. 

     

     

    용어

    클러스터, 가상화, 하이퍼바이져, 분할, 프로비져닝, 자율 컴퓨팅, 그리드 컴퓨팅

     

    더보기

    가상화(Virtualization)

    https://aliya-fatima.medium.com/beginners-guide-to-virtualization-1730f1e65563

     

    가상화가 뭔가요? 

    하나의 컴퓨팅 자원을 마치 여러 개인 것처럼 쪼개서 사용하거나, 여러 컴퓨팅 자원을 하나의 자원인 것처럼 생각하고 사용하는 것이다. 여기서 컴퓨팅 자원이란, CPU, 메모리, 스토리지, 네트워크 등을 의미한다. 

    -> 즉 실재하는 컴퓨팅 자원의 개수와 상관 없이, 내가 사용하고 싶은대로 개념화하기에 자원을 '추상화' 한다고 한다. 

     

     

    장점이 뭔가요? 

    가상화를 통해서 내가 가진 자원을 효율적으로 쓸 수 있다. 

        - 예를 들어, 내가 가진 SSD가 1TB인데 절대 이걸 다 쓰지 않을 것 같음. 그래서 필요한 친구들한테 200GB 씩 공유해서 주어진 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 또한 친구 입장에서는 실물 컴퓨터를 구매하지 않고, SSD를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가상화의 경우에는 컴퓨터 자원을 논리적으로 분리하여 공유하기 때문에, 다른 친구의 메모리에 문제가 생겨도 나의 메모리는 영향 받을 일이 없다. 

     

     

     프로비져닝

    : IT 인프라 자원을 사용자의 요구에 맞게 제공하는 것 

    e.g. 클라우드에서 컴퓨팅 자원들을 제공하고, 각 자원들에 대해서 접근 권한을 가진 계정을 인계해주는 것

     

    1.1 클라우드 컴퓨팅 개요

    1.1.1 클라우드 컴퓨팅이란? 

     

    클라우드 컴퓨팅 = 유틸리티 컴퓨팅 + 그리드 컴퓨팅

     

    클라우드 컴퓨팅은 비용적으로는 유틸리티 컴퓨팅, 기술적으로는 그리드 컴퓨팅의 개념을 차용한다. 

    • 유틸리티 컴퓨팅: 서비스 사용량에 따라서 요금을 부과하는 방식이다. 
    • 그리드 컴퓨팅: 가상 네트워크를 이용해 분산된 컴퓨팅 자원을 공유함

     

    즉, 인터넷 기술을 활용하여 다수의 사용자에게 컴퓨터 자원을 하나의 서비스로 제공하는 컴퓨팅 방식이다.  

    출처: https://velog.io/@choral/%ED%81%B4%EB%9D%BC%EC%9A%B0%EB%93%9C-%EC%BB%B4%ED%93%A8%ED%8C%85Cloud-Computing

     

    1.1.2 클라우드 컴퓨팅 구조

    크게 아래에서 부터 3개의 계층으로 구성된다

    대 분류 계층 레벨 계층 이름  정의
    클라우드 서비스 상위 클라우드 서비스 계층 고객에게 다양한 형태(IaaS, PaaS, SaaS 등)로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
    클라우드 서비스 관리 계층 물리적 자원에 대한 전반적인 관리와 모니터링 지원(과금 관리, 보안 등 포함)
    자원 활용   하위
    프로비져닝 사용자가 요구하는 컴퓨터 인프라를 구성하기 위해서 가상화 층에 인프라를 생성하거나 삭제. 
    가상화 물리 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가상화를 위한 영역
    물리적 시스템 클라우드의 인프라를 구성하는 물리 자원으로 서버, 스토리지, 네트워크 등이 포함

     

     

    1.1.3 클라우드 컴퓨팅 제공 방식과 서비스 종류

    ✔️ 클라우드 컴퓨팅 제공 방식

    : 온프레미스, 퍼블릭/프라이빗/하이브리드 클라우드

     

    온프레미스(기존 제공 방식)

    : 자체 컴퓨팅 자원에 데이터 및 솔루션 구성 

    • 장점: 보안 목적으로 대부분의 기업들이 사용
    • 단점: 자원을 유연하게 축소/확장하지 못해서 MAX 스펙으로 구매 -> 초기 자원 구매 비용과 운영 비용이 크다. 

          --> 따라서, 탄력적 자원 사용으로 비용을 절약할 수 있는 클라우드 기술의 도입이 각광받고 있음. 

     

    퍼블릭 클라우드

    : 클라우드 서비스 공급자로부터 여러 고객들이 자원을 제공 받는 방식이다. AWS, Azure, Google Cloud Platform(GCP) 등 우리가 흔히 보는 클라우드 서비스라고 생각하면 된다. 

     

    프라이빗 클라우드

    : 보안 상의 이슈로 제한된 네트워크에서 사용할 수 있는 클라우드. 인터넷이 아닌 인트라넷 사용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 퍼블릭 클라우드 + 프라이빗 클라우드

     

    ✔️ 클라우드 컴퓨팅 제공 방식 (IaaS, PaaS, SaaS)

    이름 개념 공급자 

    IaaS(Infrastructure as a Service)

    서버, 스토리지, 네트워크 등의 컴퓨터 인프라 하드웨어 자원을 가상화하여 제공하는 클라우드 서비스

    인프라 자원에 대한 사전 지식이 필요하기에 장벽이 있음
    AWS, GCP, Azure 등

    PaaS(Platform as a Service)

    서비스 개발자가 더 쉽게 자원을 이용할 수 있도록 플랫폼이나 프레임워크를 제공

    복잡한 설치 과정이나 환경 설정을 하지 않고, 개발 소스만 제공하면 바로 서비스를 올릴 수 있음. 
    AWS, GCP, Azure 등

    SaaS(Software as a Service)

     

    SW를 설치하지 않고 인터넷을 통해 클라우드에 접속하여 SW 기능을 이용할 수 있게 함.  이메일, 구글 앱

     

     

     

     

     


    Reference

    도커, 컨테이너 빌드업 서적

     

     

    클라우드 아키텍처

    I. 클라우드 아키텍처의 구성도 및 구성요소 가. 클라우드 아키텍처의 구성도 - 클라우드 컴퓨팅 아키텍처는 아래로부터 물리적 시스템 계층, 가상화 계층, 프로비저닝 계층, 서비스 관리체계 계

    itpenote.tistory.com

     

     

    [가상화] 3. 가상머신(VM)과 하이퍼바이저 쉽게 이해하기

    들어가며 지난 포스팅에서 가상화의 개념과 등장 배경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오늘은 서버 가상화의 중요한 개념인 가상 머신과 하이퍼바이저를 다루어 보겠습니다. 지난 글 참조 ✔️ [가상화]

    selog.tistory.com